경제용어사전

관리종목

[administrative issue]

관리종목은 한국거래소가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하거나 투자자 보호가 필요한 경우 해당 주식을 특별 관리 대상으로 지정한 종목을 말한다.

관리종목 지정 사유는 다음과 같다:

부도 발생에 따른 은행거래 정지

회사정리 절차 또는 회생절차 개시

외부 감사인의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 의견(3사업연도 연속 포함)

최근 3사업연도 동안 영업활동 미실시

최대주주 1인의 지분율이 51%를 초과하는 경우

유통주식수 부족(전체 주식의 10% 미만) 등

관리종목으로 지정되면 해당 종목은 거래 정지 또는 상장폐지 심사 대상이 될 수 있으며, 투자자 주의가 요구된다.

  • 금리캡과 금리플로어

    시중금리의 변동폭이 커짐에 따라 "금리캡(Cap)과 금리플로어(Floor)"를 이용한 파생...

  • 글로벌채권펀드

    미국 유럽 일본 등 신용등급이 높은 나라에서 발행한 국채 위주로 투자하는 펀드. 선진국 국...

  • 고세균[古細菌, Archaea, archaebacteria]

    고세균은 섭씨 100도의 온천이나 열수 분출구에서 서식하는 단세포 생물이다. 염분과 섭씨 ...

  • 공모[public offering]

    회사를 설립하거나 증자를 할 경우 일반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