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시지연

[disclosure delay]

공시지연은 상장회사가기한 내에 주요 경영사항이나 정보를 신고하지 않거나, 공시 기한을 넘겨서 공시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는 대표적인 공시위반 행위로 간주되며, 한국거래소는 사안의 중대성에 따라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및 벌점 부과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다.

지연된 정보가 투자 판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 심사 대상이 될 수 있다.

공시지연은 기업의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기한 내 정확한 공시 이행이 중요하다.

  • 기업구조조정전문회사[corporate restructuring corporate, CRC]

    부실한 자산을 저가에 인수해 상황이 호전된 후 고가로 되팔아 차익을 내는 기금 또는 회사를...

  • 공개 프로그램

    공개 프로그램은 개발자가 자신의 모든 권리를 갖지 않고 누구든지 프로그램을 임의로 사용하며...

  • 고아계약[orphan policy]

    보험계약을 모집한 설계사의 이직이나 퇴직등으로 계약자 관리가 되지않는 계약을 말하고 해당 ...

  • 국제철강협회[International Iron & Steel Institute, IISI]

    세계 철강산업의 이해 및 복리증진과 정보교환, 문제점 토의 등을 목적으로 1967년 7월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