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스엔진 냉난방기

[Gas Engine Driven Heat Pump, GHP]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가스터빈으로 냉매를 압축시켜 여름에는 냉방기로, 겨울에는 난방기로 이용하는 가스식 냉난방시스템으로서, 각급 학교와 대형 마트, 10층 이하 빌딩 등에 설치되며, 전력 수급 안정화와 에너지 효율 등의 이유로 국가에서 설치를 적극 권장하는 시스템이다.

GHP는 전기식 냉난방시스템인 EHP에 비해 전력사용량이 10분의 1수준으로서 약 30%의 운전 비용이 절감되며, 난방 운전시 엔진이 배출한 열을 회수하는 방식을 통해 영하 20℃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혹한기에 난방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EHP(전기엔진 냉난방기)보다 한국형 기후에 더욱 강하다는 점과 초기 난방의 속도가 빠르고 소음이 작은 점 등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다.

  • 관리한계

    불량품과 정품이 갈리는 지점의 값을 관리한계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어느 담배회사에서 7c...

  • 구독플레이션

    구독경제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을 의미하며, 이는 기업이 구독료를 인상함으로써 소비자의 부...

  • 교원평가제

    동료 교사와 학생 학부모까지 참여해 교사의 수업활동을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 2005년부터...

  • 국경세[border tax]

    미국 기업이 해외에서 제품을 생산한 후 미국으로 역수출하는 경우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