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워크아웃과 기업회생절차

[workout & corporate rehabilitation]

워크아웃이란 기업이 도산 등을 피하기 위해 채권단(금융기관)의 지원을 받아 진행하는 기업개선작업을 말한다.

채권은 부채상환 유예, 출자전환을 통한 부채를 일부 탕감해주고 기업은 자산매각 등 고강도 구조조정을 실시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에서 고합 등 7개 그룹이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은행을 통한 대기업 구조조정 프로그램이 가동되기 시작했다. 채권상환 유예를 통한 부도의 유예 조치와 협조 융자, 출자 전환까지 포괄한다.

반면 기업회생절차 (법정관리)는 부도ㆍ파산 위기에 놓인 기업이 법원에 신청, 회생을 모색하는 제도. 법원이 회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법정관리를 결정하면 모든 채무는 동결되고 법원이 지정한 법정관리인이 기업을 관리하게 된다.

  • 엑스알피[XRP]

    엑스알피는 2009년 간편 송금을 목적으로 개발된 결제 프로토콜로, 2012년 오픈코인(O...

  • 인지광고[recognition advertising]

    상품 특성, 사용법, 가격과 같은 상품 지식이나 생산지나 판매점, 취급점 등 생산이나 구입...

  • 인플레이션율[inflation rate]

    가격상승률. 인플레이션의 주요 지표로는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이며 이들은 각각 소비...

  • 아베 트레이드

    일본금융시장에서 엔화를 팔고 주식을 사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2012년 말들어 당선이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