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워크아웃과 기업회생절차

[workout & corporate rehabilitation]

워크아웃이란 기업이 도산 등을 피하기 위해 채권단(금융기관)의 지원을 받아 진행하는 기업개선작업을 말한다.

채권은 부채상환 유예, 출자전환을 통한 부채를 일부 탕감해주고 기업은 자산매각 등 고강도 구조조정을 실시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에서 고합 등 7개 그룹이 워크아웃 대상으로 선정되면서 은행을 통한 대기업 구조조정 프로그램이 가동되기 시작했다. 채권상환 유예를 통한 부도의 유예 조치와 협조 융자, 출자 전환까지 포괄한다.

반면 기업회생절차 (법정관리)는 부도ㆍ파산 위기에 놓인 기업이 법원에 신청, 회생을 모색하는 제도. 법원이 회생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법정관리를 결정하면 모든 채무는 동결되고 법원이 지정한 법정관리인이 기업을 관리하게 된다.

  • 웻 리싱[wet leasing]

    비행기 뿐 만 아니라 승무원, 기체 정비 등을 일괄로 리스하는 방식. 주로 단기간 임대를 ...

  • 양성자[proton]

    중성자와 함께 원자의 중심핵을 이루는 구성성분 중 하나. 플러스의 전기 소량을 가진 질량수...

  • 외화대출

    외국환은행이 특정 목적의 융자를 외화로 해주는 제도. 외국환은행이면 어느 곳에서나 외화대출...

  • 연금보험세액공제

    연금저축을 최소 5년 이상 납입하고 만 55세 이후에 10년 이상 연금 형태로 수령할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