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거래정지

[trading halt]

한국거래소가 특정 종목의 주식 거래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키는 조치를 말한다.

이는 투자자 보호와 시장 질서 유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로 활용된다.

주요 사유로는 공시 지연이나 오류, 기업의 중대한 경영사항 발생, 주가의 급등락, 상장폐지 사유 발생 등이 있다.

거래정지는 관리종목 지정이나 불성실공시법인 지정과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정지 기간은 사안에 따라 수 시간에서 수일 이상 지속되며, 지정된 사유가 해소되면 거래가 재개된다.

거래정지 여부와 해제 시점은 한국거래소의 판단과 해당 기업의 공시 이행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 갤러리 맨

    승진을 통해서 성취욕구를 느끼거나 자아실현을 하겠다는 꿈을 포기하고 언젠가는 자신에게 맞는...

  • 국제적 공중보건비상사태[Public Health Emergency of International Concern, PHEIC]

    세계보건기구(WHO)가 심각한 질병이 세계적으로 유행할 우려가 있는 경우 선포하는 것. ...

  •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1944년에 체결된 국제 민간항공 협정에 따라 1947년 UN산하 전문기구로 설립된 민간 ...

  • 고액현금거래보고제도[Currency Transaction Report, CTR]

    동일 금융기관에서 하루에 1천만원이상(2019년 7월1일 현재)의 현금의 지급 또는 영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