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민연금 자동조정장치

[자동조정장치]

인구 구조, 경제 상황 등에 연동해 국민연금 수급 기준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제도다.

기대 수명이 늘어나거나 경제활동인구가 줄어드는 등 변화가 발생할 때 연금 재정 안정을 위해 자동으로 소득대체율을 낮추거나 수급 연령을 늦추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OECD 38개 회원국 중 일본, 독일, 스웨덴 등 24개 국가가 자동조정장치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이들 국가는 자동조정장치를 통해 연금 기금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고 있다.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되면 가입자 수와 기대 수명 등 조건에 따라 향후 연금 수급액이 달라질 수 있다. 가입자 수가 증가하면 연금 수급액이 증가하고, 감소하면 연금 수급액이 감소한다. 기대수명이 증가하면 연금 수급 기간이 길어지므로 연금 수급액이 증가한다.

반면 기대수명이 감소하면 연금 수급 기간이 짧아지므로 연금 수급액이 감소한다.

자동조정장치 도입에 찬성하는 측은 연금 기금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조정장치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반대하는 측은 연금 수급액이 변동될 수 있어 가입자의 불안감이 높아질 수 있으며, 연금 제도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 감사보고서[audit report]

    결산시 공인회계사가 인정된 감사기준에 의해 작성한 재무제표를 말한다. 감사보고서에는 기업의...

  • 고용량 이단적재 화물열차

    종전보다 두 배 많은 화물을 싣고 기존 선로를 달릴수있는 화물열차.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코...

  • 공사

    공기업은 정부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기업으로 정부가 소유권을 갖거나 통제권...

  •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

    globalization(세계화)와 localization(지방화)의 합성어. 세계화가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