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본성 증권

[Equity-like Securities, Hybrid Securities]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증권으로, 부채이지만 회계상 자본처럼 처리된다. 주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활용된다.

자본성증권은 채권처럼 이자를 지급하지만, 만기나 상환 조건이 일반적인 부채와는 달라 회계상 자본으로 분류될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대표적으로 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 등이 있다. 이들은 만기가 없거나 길고, 발행자가 일방적으로 상환 시점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다.

기업은 이를 통해 부채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재무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금융당국은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이를 자기자본으로 인정해준다. 주로 금융회사들이 자본확충 수단으로 자주 활용한다.

  • 재닛 엘런[Janet Yellen]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 2016년 12월 14일 미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

  • 전쟁채권[War Bonds]

    미국 하원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처음으로 ''전쟁채권(War Bonds)'' 발행 법안을...

  • 족저근막염

    발바닥에 위치하여 발의 아치를 유지하며 보행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두껍고 강한 섬유띠인 족...

  • 주택담보대출비율[loan to value ratio, LTV]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가치의 비율. 은행에서 주택을 담보로 빌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