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하이브리드 채권

[hybrid bonds]

채권처럼 매년 확정이자를 받을 수 있으면서도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는 증권. 즉 주식과 채권의 성격이 뒤섞인 이종 채권으로 우리나라에는 2003년 4월 처음 도입되었다. 하이브리드 채권은 만기가 30년 이상이고 일정한 조건하에서 기업이 만기를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총자기본자본의 15%의 안의 범위에서 자기자본에 포함된다. 주로 은행이 자본금을 확충하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다. 그러나 15%를 초과하는 하이브리드 채권은 기본자본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하이브리드 채권은 일반채권에 비해 발행자가 부도날 때 원리금의 상환순위가 하위이고 이자가 비누적적으로 지급되는 등 일반 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일반채권보다 금리가 높다.

관련어

  • 합성개구 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SAR]

    공중에서 지상, 해양에 레이더파를 순차적으로 쏘고 나서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차를 합성해 지...

  •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orea Air and Missile Defense, KAMD]

    한국형 미사일 방어 체계(KAMD)는 북한의 미사일 공격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보호하기 위해 ...

  • 하이브리드카[hybrid car]

    전기, 휘발유 등 두 종류 이상의 동력원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차량. 휘발유 엔진과 전기...

  • 회계연도[fiscal year]

    국가의 세입·세출을 구분, 정리하기 위해 정한 일정 기간을 말한다.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