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후순위채

 

채권 발행사가 파산할 경우 돈을 받을 수(변제) 있는 권리가 주주를 제외하고는 가장 늦은 채권을 말한다. 변제순위가 일반 사채에 비해 뒤지는 반면 이자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후순위채는 BIS 자기자본비율 산정시 자본으로 인정받기 때문에 후순위채를 발행하면 BIS 비율을 높일 수 있다. 후순위채 발행액이 보완자본(Tier Ⅱ)으로 인정받으려면 만기가 5년 이상이어야 하는데, 은행들은 통상적으로 만기 7∼10년의 후순위채를 발행하고 있다.

관련어

  • 한국형위성발사체[Korea Space Launch Vehicle, KSLV]

    정부가 한국 기술로 제작한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리기 위해 개발하고 있는 한국형 우주발사체...

  • 황색거래처

    부실 금융거래자 등급의 일종. 금융기관들은 대출금·카드대금 연체를 비롯해 어음·수표 부도 ...

  • 하이일드 채권[high yield bonds]

    고수익·고위험 채권, 즉 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

  • 환경계정

    경제활동 과정에서 발생한 환경오염과 자연자원의 감모 등 환경손실을 화폐가액으로 평가,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