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선택 이론
[adverse selection]판매자가 구매자보다 많은 정보를 갖고 있는 시장에서는 구매자는 품질이 좋은 상품보다 역으로 품질이 낮은 상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이론.
2001년 노벨경제학상을 공동수상한 버클리대의 조지 애커로프 교수는 1970년 '레몬시장(Market for Lemons)'이란 논문에서 주식시장을 비롯한 금융시장 발전에 크게 기여한 '역(逆)선택 이론'을 제시했다.
금융시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높은 대출자는 이런 시장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신용도가 낮은 대출자, 레몬만 남게 된다는 이론이다. 따라서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정보의 비대칭성을 해소할 수 있는 조정기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
앤스로픽[Anthropic]
오픈AI의 경쟁자로 잘 알려진 미국의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은 2021년 오픈AI의 창립...
-
에버그리닝[evergreening]
전략 의약품 특허를 처음 등록할 때 특허 범위를 넓게 설정한 뒤 2∼3년 간격으로 약의 형...
-
웹 상호운용성[Web Interoperability]
브라우저와 운영체제에 상관없이 웹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웹 호환성과 혼용...
-
이전소득[transfer income]
개인이 직접 생산활동에 참여해 그 대가로 받는 일반소득과는 달리 다른 가계나 정부·기업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