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에너지 기본계획

 

5년 주기로 수립하는 에너지 분야의 최상위 법정계획으로 '에너지 헌법'으로 불린다. 현재 시점부터 향후 20년 동안의 에너지 수요·공급 전망, 에너지 확보·공급 대책, 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 계획 등이 들어간다. 어떤 에너지 비중을 늘려갈지도 결정된다. 5년마다 수립하는 계획이다.

에너지기본계획의 구속을 받는 하위 계획도 10여 개에 이른다. 전력수급기본계획, 해외자원개발기본계획, 신재생에너지기본계획, 에너지이용합리화계획, 에너지기술개발계획, 석유비축계획 등이다. 전력기본수급계획이 특히 중요한 계획으로 꼽힌다. 에너지원별 발전 비중을 정하기 때문이다.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 은행동맹[Banking Union]

    유로존에서 개별국가를 넘어 유럽차원에서 유로존 은행전체를 감독하고 은행예금에 대한 지급보장...

  • 월물

    월물은 국제유가나 주가지수선물 기타 상품의 만기월을 일컫는다. 최근월물이란 만기도래가 가장...

  • 욘족[young and wealthy but normal, yawns]

    젊고 부유하지만 평범하게 사는 사람들을 일컫는 용어. 수천만 달러 또는 그 이상의 재산을 ...

  • 유입 자산

    (공매) 한국자산관리공사가 법원 경매를 통해 취득한 재산이나 기업체로부터 취득한 재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