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레몬 시장

[Market for Lemons]

정보의 비대칭성 때문에 저품질의 재화나 서비스만이 거래되는 시장 상황을 빗댄 표현. 1970년 미국의 이론 경제학자 조지 애컬로프 "레몬의 시장:품질의 불확실성과 시장 메커니즘"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불완전 판매’가 이뤄지는 중고차를 겉은 예쁘지만 속은 아주 신 레몬에 빗댄 표현이다. 중고차 시장에서 차량 품질에 대한 정보는 파는 사람이 독점하고 있다. 일반적인 시장에선 상품 가격이 떨어지면 수요가 늘어나지만 중고차 시장은 자동차 가격이 지나치게 낮으면 ‘혹시 사고 차량 아니냐’는 의심이 들어 되레 수요는 줄어들게 된다.

관련어

  • 래핑[lapping]

    현금의 회수기록을 늦게 하여 현금부족을 감추는 것. 예를 들어 고객 A로부터 받은 현금은 ...

  • 로터세일[Rotor Sail]

    선박 갑판에 설치하는 원기둥 형태의 구조물. 선박 주변 바람과의 압력차를 이용해 추...

  • 러프 패치[rough patch]

    경기 회복기의 일시적 침체를 뜻하는 ''소프트 패치(soft patch)''보다 상태가 더...

  • 로컬푸드 운동

    반경 50킬로 이내에서 생산된 믿을 수 있는 친환경농산물을 해당 지역에서 소비하는 것을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