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본성 증권

[Equity-like Securities, Hybrid Securities]

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증권으로, 부채이지만 회계상 자본처럼 처리된다. 주로 기업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활용된다.

자본성증권은 채권처럼 이자를 지급하지만, 만기나 상환 조건이 일반적인 부채와는 달라 회계상 자본으로 분류될 수 있는 금융상품이다. 대표적으로 후순위채, 신종자본증권 등이 있다. 이들은 만기가 없거나 길고, 발행자가 일방적으로 상환 시점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다.

기업은 이를 통해 부채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자금을 조달할 수 있어, 재무건전성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금융당국은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이를 자기자본으로 인정해준다. 주로 금융회사들이 자본확충 수단으로 자주 활용한다.

  • 자기자본거래[proprietary trading]

    미국 상업은행이 고객 예금이 아닌 자기자산이나 차입금으로 채권과 주식, 각종 파생상품 등에...

  • 조세

    국민들로부터 거둬들인 세금을 말하는데, 과거 담배·인삼 등 전매사업에서 발생한 전점매익금도...

  • 주채무계열

    금융회사로부터 빌린 돈이 금융권 전체 신용공여 잔액의 0.075%를 넘는 대기업 집단(계열...

  • 지속력[staying power]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투자를 투자가가 얼마동안 유지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능력. 예를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