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주대표소송

 

현실적으로 기업경영에 참여할 수 없는 소액주주들이 일정 지분 이상의 의결권을 모아 집단으로 내는 소송으로 대주주나 경영진의 전횡을 견제하기 위한 법적 수단이다.

원래 주주대표소송은 영미법에서 인정한 법리인데, 우리나라는 1962년 상법을 제정하면서 영미식 주주대표소송 제도를 도입하였다.

영국과 미국의 경우 단 1주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에 대하여도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비상장회사의 경우 발행주식의 총수의 100분의 1 이상, 상장회사의 경우 6개월 전부터 계속하여 상장회사 발행주식총수의 1만분의 1 이상에 해당하는 주식을 보유한 주주에게만 소를 제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정부혁신브랜드

    민간의 브랜드 경영기법을 정부 부문에 적용하는 것으로 2006년 도입됐다. 각 부처가 대표...

  • 지방소비세율

    국세인 부가가치세수 중 지방에 배분되는 비율. 국세인 부가가치세의 일부를 지방세로 전환한 ...

  • 잔여지

    동일인 소유의 토지중 공익사업지구에 편입되고 남은 토지를 말한다.

  • 주식형펀드

    자산의 최소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하는 펀드를 말한다. 한편 자산의50~60%를 투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