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산효과

[asset effect]

주식 등 자산의 가치가 증대되는 경우 그 영향으로 소비가 늘어나는 효과를 말한다. 집이나 주식 등의 자산의 가격이 올라갈 경우 사람들은 소득이 그대로라도 소비를 늘리게 된다. ''부의 효과 (wealth effect)''라고도 한다. 영국의 경제학자 피구가 최초로 제창했다.

한편, 역 자산효과는 반대로 자산가치가 쪼그라든 여파로 소비가 위축되는 것을 의미한다.

관련어

  • 저농약 농산물

    제초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와 농약을 기준량의 2분의1이하로 사용해 재배한 농산물...

  • 전시효과[demonstration effect]

    사람은 더 높은 소득층의 소비수준에 이끌려서 경제적 여유가 생기면 소비를 늘리는 경향이 있...

  • 적삼병[three white solider]

    주식 시장에서 종가가 시가보다 높게 형성되면서 양봉이 3일 연속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

  •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ITA법]

    공공부문 정보화 투자 효율 및 성과제고를 위해 정보통신부가 제정하고 2006년 7월부터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