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투자경고종목

[Investment Warning Issue]

투자경고종목은 한국거래소가 투자자 보호를 위해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하거나, 거래량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등 이상 거래가 지속된 종목에 대해 지정하는 경보 단계다.
이는 시장경보제도의 세 단계 중 중간 단계에 해당하며, ‘투자주의종목’보다 강화된 조치다.
지정 사유에는 일정 기간 이상 주가 급등, 고평가 우려, 소수 계좌 집중 매수, 불투명한 정보 유통 등이 포함된다.
지정 시 해당 종목은 매매 시 투자경고 표시가 붙으며, 신용거래 제한, 증거금율 상향 등의 조치가 동반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일시적인 거래정지가 시행될 수 있으며, 해제는 일정 기간 이상 안정된 시세 흐름이 확인되어야 가능하다.
투자경고종목 지정은 투기성 과열을 억제하고, 투자자에게 위험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탬퍼링[tampering]

    탬퍼링은 서구 프로스포츠에서 사용하던 용어로 계약기간이 남은 남의 팀 선수를 빼가려는 목적...

  • 탈경계화[BEYOND]

    소비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국경·장소·연령·채널·시장·시간 등의 경계를 넘어서 직접구매하는 ...

  • 트렌드 분석[trend analysis]

    현재와 과거의 역사적 자료 또는 추세에 근거해 다가올 미래사회 변화의 모습을 투사하는 방법...

  • 테라스[terrace]

    테라스는 땅(terra)이라는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건물 1층의 외부를 전용정원으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