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교통유발부담금

 

대도시에 있는 건물 또는 시설물에 대해 교통혼잡을 유발하는 정도에 따라 매년 부과되는 부담금을 말한다. 백화점, 예식장, 아파트 단지 등이 주요 적용 대상이다. 1990년 처음으로 시행되었으며, 매년 1회씩 부과한다. 부과대상지역은 상주인구 10만 이상의 도시 등 인구밀집지역이다. 부과대상시설은 건축물 연면적이 1,000㎡ 이상인 시설물이며 분할소유 시설물인 경우에는 1인 소유면적이 30㎡ 미만이면 부담금이 면제된다. 징수된 부담금은 전액 각 지방자치단체별로 지방교통사업 특별회계의 세입으로 귀속되며 교통시설의 설치·개선 등을 위한 사업비로만 쓰인다.

산식: 교통유발 부담금=시설물의 각 층 바닥면적의 합계×단위부담금×교통유발계수

  • 금지보조금[Prohibited subsidies]

    수출을 지원하거나 수입품 대신에 국산품 사용을 증진시키긴위해 주어지는 보조금을 말한다. 국...

  • 구리[copper]

    원자번호 29번(원소기호 Cu)인 구리는 은(銀) 다음으로 전기와 열 전도율이 높은 유용한...

  • 공익신탁

    학술·종교·자선 등 공익을 목적으로 하는 신탁. 재산을 관리·운용해 나오는 수익을 위탁자가...

  • 공무원연금

    공무원 및 그 유족을 위한 종합사회보장 제도로 1960년 시행에 들어갔다. 현행법상 퇴직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