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리

[copper]

원자번호 29번(원소기호 Cu)인 구리는 은(銀) 다음으로 전기와 열 전도율이 높은 유용한 금속이다. 지구상에 널리 매장돼 있고 은과 달리 저렴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약 6000년 전 수메르인이 청동기시대를 연 이래 고대부터 무기, 화폐, 조각상, 장식품 등에 사용됐다. 현대에도 전선, 냉난방 배관, 라디에이터, 지붕재 등에 필수 금속이 구리다.

철광석과 함께 대표적 산업 원자재인 구리는 `닥터 코퍼'로 불린다. 구리 수요량 추이를 통해 글로벌 경기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리는 원유나 금보다 지정학적ㆍ정치적 영향을 덜 받는 데다 송전, 공장설비, 건축자재, 기계장비, 자동차, 해운 등 제조업 전반에 재료로 사용된다. 그래서 구리 가격은 실물경제의 경기를 예측하는 경기 선행지표로 활용된다.

구리는 주로 합금으로 쓰인다. 주석, 아연, 니켈과 섞으면 각각 청동(bronze), 아연황동(brass), 백동(cupronickel)이 된다. 금관악기는 황동으로 만들기에 합주대를 브라스밴드라고 부른다. 100원, 500원짜리 동전이 백동이다.

살충·살균·항균 효과도 구리의 특징이다. 중세 때 목선을 갉아먹는 따개비 홍합 등을 막는 장치로 배 밑바닥을 구리로 씌웠다. 구리 표면에는 생물이나 세균이 서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반면 인체에는 거의 무해해 사람 손을 많이 타는 동전, 문 손잡이, 계단 난간 등에 구리가 들어간다. 우리 선조들도 놋쇠로 불리는 황동 그릇을 많이 썼다.

구리 용도가 더욱 확장된 계기가 일명 재향군인병(病)이다. 1976년 여름 미국 필라델피아의 재향군인대회 참석자들이 집단 발병해 34명이 사망했다. 원인은 냉방장치의 냉각수에 서식한 레지오넬라균 탓이었다. 이에 따라 에어컨 배선, 수도관 등을 동파이프로 대체하는 게 필수가 됐다. 지금도 구리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다.

  • 금융채권[financial bond]

    은행, 증권사, 투자금융회사 등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을 말한다.금융채권으로는 한국은행이...

  • 교과교실제

    교사가 학급을 찾아다니며 수업하는 학급교실제와 달리 학생들이 교과별로 특성화된 전용교실로 ...

  • 감채기금[減債基金, sinking fund]

    감채기금은 특정 채무 상환 또는 특정 목적 자금 마련을 위해 별도의 계정에 적립되는 자금을...

  • 광면역요법

    근적외선에 반응하는 화학물질과 특정 암세포에 달라붙는 성질을 지닌 단백질 항체를 결합한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