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 스와프

[currency swap]

1)자국의 통화를 다른 통화와 미리 약정한 환율에 따라 일정 시점에 서로 교환하는 외환거래다. 통화스와프가 체결된 국가간에 외환이 필요할 경우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 통화 또는 달러를 빌려올 수 있다. 외환위기 등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용된다.

2)조달비용이 싼 통화를 교환하는 거래로 1981년 처음 선보였다. 세계은행이 발행한 유로 달러 채권과 IBM이 발행한 스위스 프랑 및 독일 마르크 채권을 맞바꾼 게 통화 스와프의 효시가 됐다. 1980년대 후반부터 이같은 거래가 급증했다. 통화 스와프에는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피하기 위해 특정 통화의 일정 금액을 현물환이나 선물환으로 팔면서(매입) 동시에 결제일이 다른 동일 금액의 선물환을 사는(매각) 계약도 있다. 현물환 대 선물환, 선물환 대 선물환 스와프가 이뤄질 수 있다.

관련어

  • 트리플 약세[triple weak]

    주가·채권·통화가치가 동시에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투자자들이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자금을...

  • 특혜 원산지규정[preferential rules of origin]

    상품이 자유무역협정(FTA) 또는 일반특혜관세제도(GSP) 하에서도 관세 혜택을 받아 수입...

  • 탐욕인플레이션[greedinflation]

    =>그리드인플레이션

  • 텔레프레즌스[Telepresence]

    tele와 presence의 합성어로 실물크기의 대화면으로 원격지 상대방의 모습을 보며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