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개시장조작

[open market operation, OMO]

중앙은행이 유가증권금융기관을 상대로 사고 팔거나 일반공개시장에 참여해 매매하는 것. 국채나 기타 유가증권을 매출 또는 매입함으로써 시중의 통화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금리정책 및 지급준비금제도와 함께 금융정책의 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시중에 유동성이 과잉상태를 빚고 있을 때(통화량 많은 때)는 중앙은행이 보유증권을 매각해서 돈을 흡수하고 반대로 시장에서 돈의 유통이 잘 안될 때(통화량이 적을 때)는 시중에서 증권을 사들이는 방법으로 자금을 방출한다. 매출의 경우를 매출조작 혹은 매출오퍼레이션, 매입의 경우를 매입조작 혹은 매입오퍼레이션이라 한다.

조작대상에는 일반적으로 국채 및 기타 정부증권이나 은행인수어음환어음 및 금, 외국환 등도 포함된다. 금융시장이 고도로 발달하여 금융자산이 다양화되어 있고 금리가 자율화되어 있는 선진국의 경우에는 통화조절수단으로 공개조작대상증권이 많지 않고 금융시장이 미발달되어 있는 등 여건이 성숙되지 않아 본격화되지 못했다.

1980년대 후반 국제수지의 흑로 해외 부문을 통한 통화의 공급이 확대되면서 이를 흡수하기 위해 재정증권, 외국환평형기금채권 및 통화안정증권 등의 발행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양적인 여건이 개선되었으며 그후 발행금리의 실세화를 통한 경쟁입찰방식의 도입, 발행기간의 다양화 등으로 질적인 여건도 개선되어 가고 있다.

관련어

  • 공공경제학[Public economics]

    공공경제학은 관료·정치가 등 공공 영역에서의 행동을 분석하려는 학문이다. 영국의 경제학자 ...

  • 그린카드[green card]

    농수산물 등 수입식품에 대한 검사를 효율적으로 실시, 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목적으로 ...

  • 공적대외준비자산[gross official reserve]

    한 나라의 통화당국이 대외지불준비자산으로 보유하는 금, 교환가능한 외환, SDR IMF r...

  • 공급곡선[supply curve]

    공급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공급하려면 그 재화를 시장에 팔아서 얻을 수 있는 수입이 다른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