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킴플레이션

[skimpflation]

`인색하게 굴다’는 의미의 스킴프(skimp)와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이다.

미국 연방의회 경제위원회의 앨런 콜 선임 이코노미스트가 만들어 낸 신조어다.

제품의 품질을 낮추거나 성분을 변경하여 가격을 유지하거나 인상하는 것을 말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소비자들이 잘 알아 차릴 수 없기 때문에 스킴플레이션은 가장 교묘한 '꼼수' 인플레이션으로 불린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도 스킴플레이션을 부추긴다. 원자재 또는 부품 수급, 물류에 차질이 생기면서 소비자들은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하고 상품을 구매하지만 오히려 불편을 겪고 있는 셈이다.

콜 이코노미스트는 “스킴플레이션 현상이 경제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지만 정부가 산출하는 물가 통계에선 이런 현상이 반영되고 있지 않아 문제”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와 유사한 용어인 슈링크플레이션은 제품의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되, 용량을 줄이는 것을 말한다.

관련어

  • 손절매[stop loss, loss cut]

    주식 현재 가격이 매입 때 가격보다 낮더라도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 주식을 파는 행위를 ...

  • 손익분기점 비율[breakeven point ratio]

    손익분기점 비율은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매출액으로 나눈 것이다. 이 비율로 수익의 안전성을 ...

  • 스냅드래곤8 2세대[Snapdragon8 Gen2]

    미국 퀄컴이 만드는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모바일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차세대 ...

  • 스탠더드 앤드 푸어사[Standard & Poor’s Corpration, S&P]

    미국의 신용 평가회사로 미국의 무디스(Moody's), 영국의 피치(Fitch) IBCA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