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슈링크플레이션

[shrinkflation]

가격은 유지하면서 제품 크기나 수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춰 사실상 값을 올리는 효과를 거두는 전략.

영국 경제학자 피파 맘그렌(Pippa Malmgren, 1962~)이 2015년 만든 용어로, '줄어들다'라는 뜻의 '슈링크(shrink)'와 '물가상승'을 나타내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이다. '패키지 다운사이징(package downsizing)'이라고도 한다.

슈링크플레이션은 기업이 원자재비나 인건비 등 비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된다.

가격을 인상하면 소비자의 저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크기나 중량을 줄이거나 품질을 낮추는 방식으로 비용을 전가하는 것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 가격은 그대로인데 실제로 받는 양이나 품질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구매력이 감소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슈링크플레이션은 경제 위기나 물가 상승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특히 많이 나타난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면서 슈링크플레이션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관련어

  • 슬래브[slab]

    열연강판 및 후판의 소재로 사용되는 철강 반제품. 납작하고 긴 직사각형 모양의 강판으로 통...

  •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Oxide TFT, 산화물 TFT]

    산화공정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TFT를 말한다. 기존의 a-si(armophous silic...

  • 시가총액 비중 상한제[CAP, CAP]

    코스피200, 코스피100, KRX300 등 시장을 대표하는 지수에서 지수 구성 종목 중 ...

  •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에너지효율성 향상과 신재생에너지공급의 확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을 목적으로 전력산업과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