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공인인증서

 

온라인에서 신원을 확인하거나 문서의 위·변조를 막기 위해 만들어져 민원서류 발급 같은 전자정부 서비스, 인터넷 금융 등에 활용됐다.

다만 발급이 번거롭고 관련 플러그인 기술인 ‘액티브X’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익스플로러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1999년 도입됐으나 2020년 5월 20일 공인인증서의 독점적 지위를 폐지하는 ‘전자서명법 개정안’이 통과됨에 따라 ‘공인인증서’의 독점 기능이 사라지고 사설 인증서도 기존 공인인증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사설 인증서는 적절한 보안 수준만 갖추면 공공 및 민간 영역에서 차별 없이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이 가능한 만큼 660억원 규모(2018년 기준)의 국내 전자서명 시장을 놓고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별도 프로그램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카카오페이 인증’,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가 운영하는 ‘패스’와 은행권이 선보인 ‘뱅크사인’ 등이 대표적인 수혜자로 꼽힌다.

  • 구조조정차관[structural adjustment lending]

    지속적인 국제수지적자로 경기침체에 빠져 있는 개발도상국들을 지원하기 위해 세계은행이 198...

  • 공익채권

    회사를 정리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지출하기 위하여 인정된 회사에 대한 청구권이다. 정리채권,...

  • 간접발행[indirect issuing]

    간접발행은 주식발행회사가 전문적인 지식과 조직을 구비하고 있는 증권회사 등의 전문기관(간사...

  • 국민소득의 실질화

    경상가격에 의한 국민총생산을 불변가격으로 환가하여 실질국민소득을 계산하는 것. 국민소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