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본자기자본비율

 

자기자본을 위험자산으로 나눈 것이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이다. 이때 자기자본은 ''기본자본(Tier 1)''과 ''보완자본(Tier 2)''으로 구성된다. 기본자본은 자본금 내부유보금 등 실질 순자산으로 영구적 성격을 지닌 반면 보완자본은 후순위채권 등 부채 성격을 지닌 자본을 말한다.

보완자본을 뺀 기본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산출한 지표가 기본자본비율이다. 통상 자기자본비율 10% 이상,기본자본비율이 8% 이상이면 우량 은행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2008년 말 금융당국은 각 은행에 이를 2009년 1월까지 9%까지 높이도록 요구했다. 기본자본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유상증자나 배당 억제 등이 대표적이다. 부채와 자본의 성격이 혼합된 하이브리드채권을 발행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 근저당권

    채권자가 채권의 담보로 취득한 부동산을 채무자가 기일에 채무를 상환하지 않을 때에 그 담보...

  • 경영감사[management audit]

    개별기준으로 경영자를 평가함으로써 경영자의 자질을 검토하는 방법. 경영감사는 개별공헌을 토...

  • 고정성

    상여금이나 수당이 통상임금이 되려면 정기성, 일률성, 고정성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

  • 구매주문[purchase order]

    판매자에게 특정 재화나 용역을 명기한 가격에 인도할 것을 위임한 서류. 공급자가 구매주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