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통화스와프
한중통화스와프는 비상시 한국의 원화를 중국 인민은행에 맡기고 중국의 위안화를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한국과 중국은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4월 한국은행과 중국 인민은행이 1800억위안 규모의 원/위안화 통화스와프 계약을 처음 체결했다. 이후 2011년 10월 통화스와프규모를 3600억위안(560억달러)으로 늘렸고 2014년 10월에 만기를 3년 연장했다.
2017년에는 10월10일 만기일을 앞두고 사드 (고고도미사일방어체게 THAAD)배치로 촉발된 갈등으로 인해 통화스와프의 연장여부는 불투명했다. 하지만 한중양국은 만기일 이후에도 협상을 이어가 10월13일 같은 규모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새로 체결했다. 새로운 스와프계약이지만 재연장으로 봐도 무방하다.
2020년 10월에는 기존의 통화스와프 규모를 약4000억위안(590억달러)으로 확대하고 기간은 3년에서 5년으로 늘리는데 합의했다 (2020년 10월 22일 발표). 한국이 이번에 체결한 통화스와프 규모는 중국과 유럽중앙은행(ECB), 영국(각 3500억위안) 간 규모보다 크다. 또 중국이 맺은 것으로 가장 큰 규모인 홍콩과 같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다자 간 통화스와프인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를 통해 40억달러 규모 통화스와프 계약을 처음 맺었던 한국과 중국은 2009년 4월 기존 다자 간 통화스와프 계약과 별개로 260억달러 상당의 원·위안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었다. 이후 2011년 10월 유럽 재정위기에 선제 대응하고자 스와프 규모를 두 배(560억달러)로 늘려 확대 체결했다. 이 계약은 이후 10년간 규모 변경 없이 연장됐다.
한국과 중국의 통화스와프 연장 계약이 확대 체결되면서 한국이 위기 시 해외 국가로부터 긴급히 빌릴 수 있는 외화 규모는 미 달러화 기준 1932억달러에서 1962억달러로 늘었다.
미국과의 스와프 규모가 600억달러로 가장 많고, 스위스(106억달러), 인도네시아(100억달러), 호주(81억달러), 아랍에미리트(UAE·54억달러), 말레이시아(47억달러) 등과도 계약이 체결된 상태다. 캐나다와는 금액 한도를 정하지 않은 무제한 통화스와프가 체결돼 있다.
한편, 일본과의 통화스와프는 2015년 계약이 종료된 이후 새로 체결하지 않았다.
-
휴먼타운
골목길이나 커뮤니티 등 기존 저층주택이 가진 장점은 살리고 폐쇄회로TV(CCTV), 경로당...
-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의
모든 신규 화학물질과 연간 1t 이상 제조·수입·판매하는 기존 화학물질을 매년 당국에 보고...
-
핸드 드립[hand drip]
분쇄된 커피를 여과지가 덧씌워진 드리퍼(dripper)에 넣고, 핸드드립 전용 주전자인 드...
-
후행종합지수[lagging composite index]
후행종합지수는 경기의 변동을 사후에 확인하는 지표로서 생산자제품재고지수, 회사채유통수익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