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가격정책

 

원래는 기업경영에 있어 판매관리나 구매관리에 이용되는 가격정책을 의미했으나 최근에는 수출과 관련한 환위험 관리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환위험 관리기법으로서의 가격정책은 가격조정기법과 가격표시 통화조정기법이 있다. 가격조정기법은 환율변동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의 가격을 적시에 인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가격표시 통화조정기법은 수출입표시통화를 조정함으로써 환차익을 극대화하거나 환차손을 극소화하는 것을 뜻한다.

결국 공격적인 환위험관리전략을 채택하는 기업은 수출에는 강세 통화, 수입에는 약세 통화를 이용하려고 할 것이며, 방어적인 환위험관리전략을 선택한 기업은 수출입을 불문하고 자국통화를 표시통화로 사용하려고 할 것이다.

  • 기울어진 운동장[uneven playing field]

    기울어진 운동장은 애초부터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없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어...

  • 가트너[Gartner]

    미국 코네티컷주에 본사를 둔 IT분야의 리서치 기업이다. 2001년까지 가트너 그룹(The...

  • 경제발전경험 공유사업[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재정경제부가 우리의 경제발전경험을 정책자문, 현지 최적화, 국제기구 공동컨설팅 등을 제공하...

  • 과세지가

    건설교통부가 매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발표하는 전국의 땅값을 말한다. 종래 땅값이 정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