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급
정상적인 근로조건하에서 정상적인 근로에 대해 지급되는 임금을 말하며 이는 임금체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기본급은 결정방식에 따라 임금체계가 달라지는데 기본급 운영체계는 사람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연공급 임금체계가 있고 직무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직무급 체계가 있다. 사람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연공급 체계는 우리나라, 일본 등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고 직무를 중심으로 한 직무급 체계는 서구에서 많이 쓰인다. 이 두 제도를 절충한 형태가 직능급 임금체계다. 이런 것들은 대개의 경우 단독으로 구성되지는 않으며 기본급 중에서 연공급의 비중 60%, 능력급 비중 40% 등 어떤 비율로 기본급이 구성되어 있다.
-
공의결권[空議決權]
빌린 주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의미다. 주식 소유에 따른 경제적 위험은 지지 않고 주주...
-
교역조건[terms of trade]
교역조건은 한 나라의 상품과 다른 나라 상품 간 교환 비율을 말한다. 교역조건을 통해 상품...
-
경제적 인간[homo economicus]
국부론의 저자 애덤 스미스는 인간의 경제활동은 자기애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기적...
-
국민총매력지수[Gross National Cool, GNC]
2002년 미국의 뉴아메리칸재단 연구원이자 미래학자인 더글러스 맥그레이란 사람이 처음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