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본급

 

정상적인 근로조건하에서 정상적인 근로에 대해 지급되는 임금을 말하며 이는 임금체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기본급은 결정방식에 따라 임금체계가 달라지는데 기본급 운영체계는 사람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연공급 임금체계가 있고 직무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직무급 체계가 있다. 사람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연공급 체계는 우리나라, 일본 등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고 직무를 중심으로 한 직무급 체계는 서구에서 많이 쓰인다. 이 두 제도를 절충한 형태가 직능급 임금체계다. 이런 것들은 대개의 경우 단독으로 구성되지는 않으며 기본급 중에서 연공급의 비중 60%, 능력급 비중 40% 등 어떤 비율로 기본급이 구성되어 있다.

  • 국제비즈니스 대상[International Business Awards, IBA]

    전 세계 기업과 조직이 1년 동안 펼친 경영, 성장, 홍보 등의 사업 활동을 15개 부문에...

  • 고아계약[orphan policy]

    보험계약을 모집한 설계사의 이직이나 퇴직등으로 계약자 관리가 되지않는 계약을 말하고 해당 ...

  •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the Protection of New Varieties of Plants, UPOV]

    음반이나 컴퓨터 소프터웨어, 신기술 특허처럼 새로 개발한 식물 종자(씨앗)의 지적재산권을 ...

  •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개인의 자기 인식과 타인에 대한 감수성을 높여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적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