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본급

 

정상적인 근로조건하에서 정상적인 근로에 대해 지급되는 임금을 말하며 이는 임금체계를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기본급은 결정방식에 따라 임금체계가 달라지는데 기본급 운영체계는 사람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연공급 임금체계가 있고 직무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직무급 체계가 있다. 사람을 기준으로 운영되는 연공급 체계는 우리나라, 일본 등에서 많이 채택하고 있고 직무를 중심으로 한 직무급 체계는 서구에서 많이 쓰인다. 이 두 제도를 절충한 형태가 직능급 임금체계다. 이런 것들은 대개의 경우 단독으로 구성되지는 않으며 기본급 중에서 연공급의 비중 60%, 능력급 비중 40% 등 어떤 비율로 기본급이 구성되어 있다.

  • 개인 웹메시징 서비스

    이동통신사 홈페이지를 통해 자사 가입자에게 무료 또는 유료로 제공하는 문자 발송 서비스

  • 기술적 회복[technical rally]

    증권이나 상품선물가격이 전반적으로 하향하다가 단기적으로 급등하는 현상. 이러한 회복은 투자...

  • 기소배심제도[grand jury]

    일반 시민이 배심원이 되어 기소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 미국의 대배심제가 대표적이다. 미국...

  • 고도화설비

    고도화설비는 원유 정제과정에서 생산되는 값싼 중질유(벙커C유)를 재처리, 부가가치가 높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