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합성평가
[適合性評價, conformity assessment]제품이나 서비스, 공정이 법적·기술적·안전 기준 등 사전에 정해진 규격이나 요구사항을 얼마나 충족하는지를 심사하는 절차.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이를 “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가 규정된 요건을 충족시키는 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심사”로 정의한다.
적합성평가는 시험(testing), 검사(inspection), 인증(certification)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며, 제품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핵심 수단이다. 특히 방송통신기자재의 경우, 전파환경에 해를 끼치거나 전자파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조·수입·판매 이전에 반드시 이 평가를 거쳐야 한다.
또한 국제무역에서는 국가 간 기술 장벽을 완화하고 상호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며, ISO, IEC 등 국제기구의 표준을 기준으로 적용되기도 한다.
-
전자상품 코드정보 서비스 표준[Electronic Product Code Information Service, EPCIS]
RFID을 통해 업체간 물류의 흐름 또는 제품정보를 거래 기업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
-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quity linked bond, ELB]
자산의 대부분을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국공채로 채우고 일부를 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
접속 설정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인터넷 전화(VoIP) 및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 구현을 위한 IETF (Internet ...
-
주택재개발사업
정비기반시설이 열악하고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