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합성평가
[適合性評價, conformity assessment]제품이나 서비스, 공정이 법적·기술적·안전 기준 등 사전에 정해진 규격이나 요구사항을 얼마나 충족하는지를 심사하는 절차.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이를 “제품, 공정 또는 서비스가 규정된 요건을 충족시키는 정도에 대한 체계적인 심사”로 정의한다.
적합성평가는 시험(testing), 검사(inspection), 인증(certification)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뤄지며, 제품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핵심 수단이다. 특히 방송통신기자재의 경우, 전파환경에 해를 끼치거나 전자파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조·수입·판매 이전에 반드시 이 평가를 거쳐야 한다.
또한 국제무역에서는 국가 간 기술 장벽을 완화하고 상호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며, ISO, IEC 등 국제기구의 표준을 기준으로 적용되기도 한다.
-
주파수 간섭 제어기술[enhanced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eICIC]
주파수 도달 범위가 넓은 대형 기지국과 비교적 협소한 소형 기지국 간 간섭 현상을 최소화하...
-
저작인접권
제작자 및 실연자가 보유하고 있는 음원을 복제할 수 있는 권리.작사 작곡자가 갖고 있는 저...
-
자본 리쇼어링
삼성전자, 현대차, 기아 등 대기업들이 해외 법인에서 벌어들인 돈을 본사 배당 형태로 한국...
-
준용사업자
통신사업자의 개인정보보호의무를 따르도록 되어 있는 사업자로서 여행업ㆍ호텔업, 항공운송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