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가안전보장회의

[National Security Council, NSC]

국가 안보·통일·외교와 관련된 최고 의결기구로 국가안정보장에 관련되는 정책수립에 관한 대통령의 자문을 맡는다. 1962년 당시 대통령 박정희의 지시에 따라 안보관련 현안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목적하에 설립되었다. 국가적인 돌발사태와 위기사태 발생시에 소집된다. 유명무실했던 것을 김대중 정부 때 외교·국방·통일 정책을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정책기구로 재출범했고 노무현 정부에 들어서면서 그 위상이 강화됐다. 대통령이 의장이고, 국무총리와 국가정보원장, 통일·외교통상·국방부장관과 대통령 비서실장,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처장(청와대 국가안보보좌관)등 8명으로 구성된다.

  • 가변비용[variable costs]

    생산량을 늘리거나 줄이 때 늘어나고 줄어드는 비용을 말한다. 생산량을 줄이면 가변비용은 줄...

  • 과표현실화율

    각종 세금은 과세표준(과표)에 세율을 곱해서 산출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과표의 크기가...

  • 경영자원의 능력

    기업이 가지고 있는 인적·물적자원 등의 유무형자원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으로, 축적된 여러 ...

  • 그린 IT[Green IT]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친환경적인 성격을 갖는 IT 기기나 IT 기술을 뜻한다.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