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개량신약

[incrementally modified drug, IMD]

오리지널 신약과 성분·약효가 유사하지만, 그 약이 효과를 잘 내도록 하는 데 필요한 물성을 변경하거나, 복용하기 편하게 제품을 필름, 패티, 스칙 등 새로운 제형으로 바꾼 것을 말한다. 두 가지 이상의 성분을 섞어 만든 복합제도 개량신약에 속한다.
기존 제품보다 복용 편의성 등을 개선했다는 점에서 단순 복제약과는 다르다.
신약에 비해 임상기간이 짧고, 투자비용이 적게 든다. 궁극적으로 신약 개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

  • 게이샤 본드[geisha bond]

    일본에서 미 달러화로 발행된 채권을 말하는 것으로 쇼군 본드(shogun bond)라고도 ...

  •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미국 코닝사가 개발한 강화유리. 이온 강화 처리돼 일반유리에 비해 얇고 가벼우면서도 충격에...

  • 금융[finance]

    금전을 융통하는 일을 말한다. 자금을 융통하는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이자가 붙어 자금의 융통...

  • 권리부사채

    일반채권과는 달리 전환사채나 신주인수권부사채처럼 주식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포함된 사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