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개량신약

[incrementally modified drug, IMD]

오리지널 신약과 성분·약효가 유사하지만, 그 약이 효과를 잘 내도록 하는 데 필요한 물성을 변경하거나, 복용하기 편하게 제품을 필름, 패티, 스칙 등 새로운 제형으로 바꾼 것을 말한다. 두 가지 이상의 성분을 섞어 만든 복합제도 개량신약에 속한다.
기존 제품보다 복용 편의성 등을 개선했다는 점에서 단순 복제약과는 다르다.
신약에 비해 임상기간이 짧고, 투자비용이 적게 든다. 궁극적으로 신약 개발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

  • 금액가중수익률[amount-weighted yield]

    투자자가 투자한 금액에 대한 수익률. 기간별 투자 수익금 평균으로 수익률을 평가한다. ...

  • 고전자이동도 트랜지스터[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 HEMT]

    전자 이동도가 실리콘보다 10배 이상 빨라 고속 동작에 적합한 트랜지스터. 갈륨비소(GaA...

  • 광고[advertising]

    산업·기업·비영리 조직 또는 개인에 의한 다양한 매체를 통해 통신되는 유료의 불특정 다수를...

  • 거주자 외화예금

    내국인과 국내기업, 국내에 6개월 이상 거주한 외국인, 국내에 진출한 외국 기업 등이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