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TV

[free ad-supported streaming TV, FAST]

FAST는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텔레비전(Free Ad-supported Streaming TV)'의 머리글자를 딴 개념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광고를 보는 대신 영상 콘텐츠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다.

OTT 서비스나 IPTV와 같은 유료 콘텐츠 시청 방식과는 다른 개념이다.

FAST 서비스는 광고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며, 업체가 편성한 스케줄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선택권이 제한된다.

대신 업체는 이용자의 성향을 파악해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여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FAST 서비스는 2010년대 중후반 처음 등장했으며, 2018년 본격적으로 용어가 소개됐다.

스마트TV 보급률이 증가하면서 서비스 이용자 수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북미와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 콘텐츠를 전문으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미국 시장에 출범하기도 했다.

  • 계절성 근로자

    농·어번기 일손부족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단기취업비자(C-4)로 최장 90일 동안 외국인 ...

  • 과세표준세율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각기 다른 세율이 적용된다. 2014년 1월 1일부터 개정 적용되는 ...

  • 규제일몰제[Sunset Law]

    규제가 만들어질 당시와 비교해 사회경제적인 상황이 변해 규제의 타당성이 없어졌는데도 규제가...

  • 감사의견[auditor’s opinion]

    감사의견은 기업의 재무제표가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공정하고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공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