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외부감사법

[신외감법]

회계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2018년 11월부터 시행한 외부감사법 개정안을 말한다.

주기적 감사인 지정제, 표준감사시간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기적 감사인지정제’는 상장사 등이 6년간 감사인을 자율 선임한 경우 다음 3년은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감사인을 지정받도록 하는 제도다. 기업과 감사인의 교착을 막기 위한 것이다.

주기적 감사인지정제란 정부가 강제로 외부감사인(회계법인)을 배정하는 제도로 세계에서 유일하다.

표준감사시간이란 감사인이 투입해야 하는 적정 감사시간으로, 기업규모 및 업종, 상장여부 등에 따라 산출된다. 감사시간이 늘어나면 감사보수도 늘어나게 된다.

내부회계관리제도란 재무제표 오류와 부정비리를 막기 위해 재무보고와 관련된 회사 업무를 관리 통제하는 내부 통제 시스템을 말한다.

  • 사회적 할인율

    공공투자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할 때 미래의 비용•편익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

  • 시장심도[market indepth]

    1,000주 거래시 가격변동이 1호가단위 이하인 거래량의 비중.

  • 산업평균비율

    재무비율을 통해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재무제표의 자료를 ...

  • 선납

    다음 회차에 상환해야할 월납입액(원리금)을 당초 상환예정일보다 미리 상환하는 것. 조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