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소속부
우리나라 주식시장은 시장 1부와 2부로 분리돼 있다. 일반적으로 1부 종목은 2부 종목에 비해 재무구조가 건실하고 주식이 널리 분산돼 있어 투자자들이 쉽게 사고팔아 환금성이 좋은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이 때문에 주가도 2부보다 높다.
시장 1부 지정 요건은 납입자본이익률이 최근 3년간 10% 이상이거나 유보율이 150% 이상이고, 최근 3년 중 2년간 5% 이상씩의 배당실적이 있어야 한다. 또 자본금 규모에 따라 소액주주수가 4백∼5백명을 넘어야 하고 소액주주 소유주식이 유동주식의 40% 이상, 대주주 1인 소유주식이 발행주식의 51% 이하여야 하는 등 주식분산이 잘돼 있어야 한다. 부채비율, 유동비율, 거래량, 감사의견 등도 참작된다.
새로 상장된 종목은 일단 시장 2부에 소속된다. 상장 후 1년이 지나 요건을 갖추면 1부로 승격될 수 있다. 1부 종목도 배당을 못하는 등 요건에 미달되면 2부로 떨어진다. 시장소속부는 증권거래소가상장기업의 결산실적과 주식거래상황 등으로부터 수익성, 환금성 등을 평가해 결산기말로부터 5개월째 되는 날 변경 지정한다. 부도발생 등으로 상장을 폐지해야 하는 종목은 관리종목으로 지정, 특별히 별도 관리한다. 관리종목의 소속은 시장 2부다.
시장소속부를 분리한것은 투자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상장기업들의 건전경영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상장기업으로서도 1부에 소속되면 자금조달에 유리한 등 이점이 있어 재무구조의 건실화, 주식분산 등을 통해 1부에 속하도록 하는 노력을 부추기는 효과를 낼 수 있다.
-
사이버 복원력[cyber resilience]
사이버 복원력은 조직이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자산, 데이터, 시스템을 보호하고 비즈니스 연속...
-
상속신탁제도
현금과 유가증권, 부동산 등을 은행이나 증권사 등에 맡긴 뒤 여기서 발생하는 수익을 언제,...
-
스마트 금융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금융서비스. 스마트 폰등을 이용해 대출 신청이나...
-
스트립스채권제도[Separate Trading of Registered Interest and Principal of Securities, STRIPS]
채권의 원금부분(hedging bond)과 이자부분을 분리하여 별도로 매매되는 채권을 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