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내부회계관리제도

 

재무제표 오류와 부정비리를 막기 위해 재무보고와 관련된 회사 업무를 관리 통제하는 내부 통제 제도의 일부분이다.

이는 기업의 재무보고 프로세스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를 통해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구축하고 운영해야 하며, 이를 위해 내부회계관리자를 지정하고 내부회계관리규정을 제정해야 한다.

외부감사법 시행령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적용 시기와 대상 기업의 자산 규모는 다음과 같다.

1.별도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적용 시기

직전 사업연도 자산 2조원 이상 상장회사: 2019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5천억 이상 상장회사: 2020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1천억 이상 상장회사: 2022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1천억 미만 상장회사는 2023 사업연도부터 내부회계관리제도 외부 감사 면제(검토 유지)

2.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적용 시기

직전 사업연도 자산 2조원 이상 상장회사: 2023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5천억 이상 상장회사: 2029년
직전 사업연도 자산 1천억 이상 상장회사: 2030년

관련어

  • 녹색기술[green techology]

    온실가스 감축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생산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자원순환 및...

  • 나스닥선물[E-mini Nasdaq 100]

    시카고 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나스닥 100 지수선물은 1996년부터 거래를 시작했으며 2...

  • 눌림목

    상승세를 타고 있는 종목이 수급 등의 요인으로 일시적인 하락세를 보이는 것을 뜻한다. 약세...

  • 님비현상[NIMBY syndrome]

    ''내 집 뒷마당은 안된다(Not In My Back Yard)''는 뜻으로 혐오 시설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