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트럼프케어

[Trumpcare, AHCA(American Health Care Act of 2017)]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건강 보험 개혁법안(American Health Care Act of 2017). 오바마 전대통령의 '오바마케어'를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오바마케어에 빗댄 말이다.

트럼프케어는 오바마마케어의 핵심인 건강보험 의무가입조항을 삭제하고 저소득층에 대한 보조금을 폐지하고 대신 연령에 따른 세액공제를 도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의료보험인 메디케이드의 적용폭을 줄여 필요한 사람만 건강보험에 가입토록 유도함으로써 가구와 중소기업의 보험비 절감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트럼프케어는 안밖으로 만만치 않은 저항에 시달려 왔다. 2017년 4월 24일 공화당 내 강경파 ‘프리덤 코커스’는 트럼프케어가 ‘오바마케어 2탄’이라며 반대해 법안 처리를 거부했다. 이에 따라 트럼프 대통령은 법안을 수정해 각 주(州)정부가 오바마케어 핵심인 ‘환자들에게 더 높은 보험료율 부과 금지’ ‘최소 보험보장 요건 의무화 조항’ 등을 축소하거나 폐지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이런 우여곡절 끝에 트럼프케어는 2017년 5월 4일 공화당 내 일부 강경파가 찬성으로 돌아서면서 간신히 하원을 통과해 상원으로 넘겨졌다.
하지만 트럼프케어는 공화당 상원의원들 일부가 "오바마케어와 다를바 없다"거나 "트럼프케어가 부자들의 부담을 줄여 저소득자의 의료보험혜택을 박탈한다" 며 반대하고 나서 2017년 7월 18일 최종적으로 좌초되고 말았다.

  • 토빈의 Q[Tobin's q]

    경제학자 제임스 토빈(James Tobin)이 만든 개념으로 원래 인수합병과 관련된 기업의...

  • 트위스트 마케팅[twist marketing]

    트위스트 마케팅이란 시장 후발주자가 1등 업체를 따라잡기 위해 소비자들의 인식을 비틀어 새...

  • 테일러 준칙[Taylor''s Rule]

    사전적으로 (preemptive) 금리 수준을 인플레이션율에 맞춰 조정하는 것이 경제 안정...

  • 특별공제

    근로소득자가 신청할 경우 공제혜택을 주는 항목으로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등이 이에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