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테일러 준칙

[Taylor''s Rule]

사전적으로 (preemptive) 금리 수준을 인플레이션율에 맞춰 조정하는 것이 경제 안정에 가장 중요하다는 이론.
적정 금리 수준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유명하며 1992년 존 테일러 스탠퍼드대 교수가 처음 제시했다.

실질 균형금리에 평가 기간의 물가상승률을 더한 수치에 평가 기간의 물가상승률에서 목표 물가상승률을 뺀 수치에 정책반응 계수(물가 이외의 성장 등 통화당국의 정책 의지를 나타내는 계량 수치)를 곱하여 더한다. 그리고 평가 기간의 경제성장률에 잠재성장률을 뺀 값에 정책반응 계수를 곱한 후 모두 더해 산출한다. 전 세계 중앙은행이 통화정책에서 명목 기준금리를 설정하는 기본 모델로 채택하고 있다.


공식으로 나타내면 ‘적정 기준금리=균형 실질이자율+물가상승률+0.5×(인플레이션 갭)+0.5×(국내총생산 갭)’이다.

여기서 인플레이션 갭은 실제 물가상승률에서 중앙은행의 목표 물가상승률을 뺀 것이다. 국내총생산(GDP) 갭은 실질 GDP에서 잠재 GDP를 뺀 것이다. 0.5라는 숫자는 테일러가 임의로 정한 계수다. 물가와 경기를 균형 있게 고려해 기준금리를 정해야 한다는 의미다. 테일러는 이 공식에서 균형 실질이자율을 2%로 잡았다. 단, 성장률 하락 추세를 반영해 1%로 낮춰야 한다고 보는 전문가도 많다.

이 공식에서 중앙은행의 물가상승률 목표가 2%이고, 실제 물가상승률이 2%이며, GDP가 잠재 GDP 수준이라고 해 보자. 이 경우 적정 기준금리는 연 4%다. 물가와 성장률이 안정적인 상황이라면 테일러 준칙이 제시하는 적정 기준금리는 연 4%가 되는 것이다.

버냉키의 테일러 준칙 비판
테일러 준칙은 비판도 많이 받는다. 테일러 준칙을 구성하는 변수들부터가 유동적이다. 균형 실질이자율, 인플레이션 갭, 잠재성장률 등은 그 자체가 추정치다. 벤 버냉키 전 Fed 의장은 “물가상승률 자리에 소비자물가 상승률, 근원물가 상승률, GDP 디플레이터 중 무엇을 넣느냐에 따라 기준금리가 달라진다”며 “인플레이션 갭과 GDP 갭에 부여하는 가중치도 다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각 변수의 값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해도 한계가 있다. 통화정책은 물가와 성장률 외에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는데 테일러 준칙엔 그 부분이 빠져 있다. Fed도 통화정책 보고서에서 “몇몇 경제적 변수만 반영한 단순한 준칙은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감안해야 할 수많은 요인을 빠뜨리고 있다”고 인정했다.

테일러 준칙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수정된 준칙도 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은행 총재가 제안한 ‘윌리엄스 로버스트’ 준칙,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 총재가 제안한 ‘현대화된 테일러 준칙’ 등이다. 그러나 이런 준칙은 통화정책의 절대적 지침이라기보다는 참고자료 혹은 사후적 평가 기준으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관련어

  • 투자선도지구

    특정 지역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규제 완화, 자금 지원 등을 통해 투자를 유도하는 지역....

  • 트러블 슈팅[trouble shooting]

    정보기술(IT)업계의 용어로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처리한다...

  • 트렁크 쇼[trunk show]

    의상이나 보석 등 신제품이 출시되었을때 소수의 상위소비자 (VVIP)를 위해 개최하는 소규...

  • 특수주소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과 같은 공동주택의 주소를 표기할 때 지번 다음에 기재되는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