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다중채무자

 

세 곳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사람을 말한다.

다중채무자는 금리 상승이 본격화할 때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다. 금리상승기에는 다중채무자 가운데서도 절대적인 빚 규모가 큰 차입자, 그리고 수입이 적은 저소득층에서 부실 위험이 커진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빚으로 빚을 돌려 막는’ 신용대출 채무자들이다.

2023년 6월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다중채무자수는 448만명으로 국민 10명 중 한명 꼴로 한국은행이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고수치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가 전체 가계대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6%로 나타나 이 역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의 전체 대출 잔액은 572조4000억원, 1인당 평균 대출액은 1억278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평균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61.5%였다.

DSR이란 해당 대출자가 한해 갚아야 하는 원리금 상환액을 연 소득으로 나눈 값을 뜻한다. 대출받는 사람의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부담이 소득과 비교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가늠하기 위한 지표다.

관련어

  • 동일인여신한도제

    이 제도는 금융기관의 특정인에 대한 여신편중운용을 억제하여 금융자산의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

  • 등락비율[advance-decline ratio, ADR]

    상승 종목수와 하락 종목수의 비율을 말한다. 등락비율은 천정권을 예측하는 기능보다 저가권을...

  • 다중서비스 지원플랫폼[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MSPP]

    통신사업자가 고객 전용 서비스 증설시 추가 망을 구축할 필요 없이 전용회선·음성·이더넷(근...

  • 도매상[wholesaler]

    생산자에게 대량의 재화를 사들여 궁극적인 소비자보다는 다른 분배자, 즉 소매상에게 파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