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딤섬본드

[Dimsum bond]

외국계기업이 홍콩 채권시장에서 발행하는 위안화표시채권을 말한다. 2010년 2월 중국 정부가 홍콩 금융시장 확대를 위해 외국계기업의 위안화 표시 채권을 발행을 허용함으로써 도입됐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중국정부의 엄격한 자본통제 때문에 본토에서 발행되는 위안화표시 채권은 살수 없는 반면 ‘딤섬본드’는 아무런 제한 없이 투자가 가능하다. 한편, 외국계기업이 중국 본토에서 발행하는 위안화 채권은 ''''판다본드''''라고 한다.

관련기사

  • 위안화 약세 영향…발행액 1년새 60% 급감…쪼그라드는 '딤섬본드' 시장

    중국 본토 이외의 지역에서 위안화 표시로 발행하는 채권인 ‘딤섬본드(dimsum bond)’ 발행 규모가 지난해 60%가량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위안화 약세 기조가 지속된 데다 중국 정부가 본토 채권시장 육성에 나선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지난 2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발행된 딤섬본드 규모는 총 51억달러다. 전년 동기 대비 발행액이 60% 급감했다. 딤섬본드 발행액은 2012년까지 연간 발행규모가 50억달러 전후였다가 2014년 150억달러로 급증했다. 중국 정부가 부동산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부동산 개발업체의 국내 채권 발행을 금지하자 이들이 해외시장에서 딤섬본드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영향이 컸다. 글로벌 투자자에게 딤섬본드는 중국 위안화 가치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 매력적인 투자 수단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미국 달러화와 비교한 중국 위안화 가치가 연간 4.5% 하락하면서 딤섬본드에 대한 글로벌 투자자의 투자 열기가 식기 시작했다. SCMP는 중국 정부가 최근 자국 채권시장 육성을 위해 외자 기업들의 본토 내 채권(일명 판다본드) 발행을 허용할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딤섬본드 시장에 악재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딤섬본드 시장의 부진이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에반 골드스타인 도이치뱅크 연구위원은 “위안화 약세, 중국 내 풍부한 유동성 등 딤섬본드 부진을 야기한 조건들이 올해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베이징=김동윤 특파원 oasis93@hankyung.com

    2016-01-04
  • 다중서비스 지원플랫폼[Multi-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MSPP]

    통신사업자가 고객 전용 서비스 증설시 추가 망을 구축할 필요 없이 전용회선·음성·이더넷(근...

  • 데이터 웨어하우징[Data Warehousing]

    기존의 다양한 데이터 베이스에서 요약 분석된 자료를 추출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거나 이...

  • 디지털 포용성[Digital Inclusion Benchmark]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영 관점에서 디지털 기술을 어느 수준으로 연구하고 사회와 얼마나 공유...

  • 닥터 코퍼[Dr. Copper]

    경기판단 지표로 흔히 쓰이는 구리를 의인화 해서 부르는 말. 원자번호 29번(원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