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영업용순자본비율

[net capital ratio, NCR]

1997년 4월 도입된 증권회사자기자본규제 제도.

은행의 BIS비율처럼 증권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부담하고 있는 위험의 규모가 보유 중인 증권사의 유동성에 비춰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유동성자기자본(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으로 나눠 백분율로 표시한다. NCR이 높을수록 자본건전성이 양호하다는 뜻이다. 증권회사들은 항상 영업용순자본을 총위험액보다 크게 유지해야 하며 그 비율이 100%, 120%, 150%에 미달할 때마다 각각 경영개선 권고, 요구, 명령의 적기시정조치가 이뤄진다.

투자자 보호와 증권산업 안정을 위해 제도적으로 마련한 장치지만, 증권업계의 자기자본투자(PI)를 제한해 종합금융투자사업자(투자은행 · IB) 발전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관련어

  • 융합기술[convergence technoology]

    2개 분야 이상의 과학기술이나 학문분야를 결합,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 나노기술(N...

  • 임대주택 등록 활성화 방안

    주택소유자의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가 2017년 12월 13일 발표한...

  • 유럽재정안정기금[European Financial Stability Facility, EFSF]

    유럽연합이 재정위기에 빠진 회원국에 구제금융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한 비상기금. 2010년 ...

  • 외국인 토지거래허가제

    외국인이 한국에서 토지를 취득하려면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제도다. 군사시설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