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개선권고
[Management Improvement Recommendation]경영개선권고는 금융위원회 또는 금융감독원이 자본적정성 등 재무건전성이 일정 기준에 미달한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 금융회사에 대해 사전적으로 경영 개선을 촉구하는 제도적 조치다.
해당 회사는 통상 2개월 내에 자산 매각, 비용 절감, 조직 개선 등의 계획을 제출하고, 금융위 승인을 받아 최장 1년간 개선 작업을 이행해야 한다.
이는 경영개선요구·명령보다 수위가 낮은 경고 단계 조치로, 영업 활동에는 직접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자본 확충이나 사업구조 조정을 유도하는 실질적 압박 장치로 작용한다.
예컨대 2025년 롯데손해보험은 정기검사에서 자본적정성 4등급(취약) 평가를 받아 경영개선권고를 부과받았고, 향후 매각 절차와 시장 신뢰에도 영향을 받게 됐다.
업권별로 기준과 평가 지표는 다르다. 은행은 BIS 비율(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을 중심으로 외환·유동성·대손충당금 리스크가 주요 평가 요소며, 보험사는 RBC 비율(지급여력비율)을 기준으로 장기 책임준비금, 손해율 등에 민감하다. 증권사는 NCR 비율(영업용순자본비율)로 유동성 위험을 평가하며, 중소형사나 고위험 상품 투자 증권사에서 자주 적용된다.
관련어
- 참조어영업용순자본비율, BIS 자기자본비율, RBC 비율
-
공회전 제한장치[Idle Stop & Go, ISG]
자동차가 정차해 있을 때 시동이 꺼져 엔진은 정지되고 배터리를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시키고 ...
-
기반시설부담금
건축물을 신ㆍ증축할 때 도로나 공원 등을 확충하기 위해 건축주에게 부과하는 일종의 준조세를...
-
궐련형 전자담배[heated tobacco products, heat-not-burn tobacco, HTPs]
전자기기를 이용해 연초 고형물을 고열로 가열해 니코틴 증기를 흡입하는 방식이다. 일...
-
개별주식선물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국내의 대표적 우량주 15종목을 기초로 선물거래를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