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파노플리 효과

[Panoplie Effect]

소비자가 특정제품을 소비하면 유사한 급의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 집단과 같아진다는 환상을 갖게되는 현상을 말한다.

프랑스의 사회철학자 장 보드리야르가 1980년대 처음 고안한 개념이다.

이런 현상은 구매한 물건을 통해 자신의 지위와 문화적 자본을 드러내려는 욕구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유명인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제품이 불티나게 팔리는 현상도 ‘파노플리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관련어

  • 파킨슨 법칙[Parkinson’s Law]

    영국의 경영학자 파킨슨 (1909-93)이 현대의 관료사회를 신랄하게 풍자하며 제창한 사회...

  • 플랜 B[Plan B]

    1996년 말레이시아의 외환위기 당시 국제통화기금(IMF)식 경제 처방인 고금리, 긴축 재...

  • 펜트업 효과[pent-up effect]

    억눌렸던 수요가 급속도로 살아나는 현상으로, 외부의 영향으로 수요가 억제됐다가 그 요인이 ...

  • 피보험자[insured]

    이해관계가 보험증서에 의해 보장된 사람. 사고발생 시 보상을 받는 사람으로 보험금의 지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