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그린 뉴딜정책

[Green New Deal Policy]

그린 뉴딜은 '그린(green)'과 '뉴딜(New Deal,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1930년대 대공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추진한 일련의 경제정책)'의 합성어로, 기후변화 대응·에너지 전환 등 환경에 대한 투자를 통해 경기부양과 고용 촉진을 끌어내는 정책을 말한다.

그린 뉴딜은 기존 경제·산업 시스템을 저탄소 경제구조로 전환시키는 대변혁을 지향하며, 기후위기와 환경문제에 대한 대응을 핵심으로 한다.

이 개념은 2007년 토머스 프리드먼의 저서 「그린코드(Code Green)」에서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프리드먼은 미국이 기후위기를 극복하면서도 국제적 주도권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 주도의 '녹색 버전 뉴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주장은 청정 에너지 신산업을 육성해 에너지 산업의 구조를 재편함으로써 기후변화를 억제하고, 기존 화석연료 기반의 국제 질서를 대체하는 새로운 질서를 창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후 그린 뉴딜에 대한 논의는 영국과 미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본격화되었다.

2008년 영국에서는 정부 투자와 저탄소 인프라 구축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녹색 일자리를 창출하는 내용을 담은 '그린뉴딜'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미국에서는 오바마 전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그린 뉴딜을 제시했고, 그의 재임 기간 동안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주요 정책으로 자리 잡았다.

또한, UN환경계획에서도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으로서 그린 뉴딜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 글로벌국채지수[World Government Bond Index, WGBI]

    씨티그룹이 발표하는 미국, 영국, 일본 등 23개 선진국 정부채권으로 구성된 투자지수. 세...

  • 국가기후환경회의

    미세먼지와 기후변화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대통령자문기구. 2019년 4월 미세먼지 문제 해결...

  • 기업부족자금보전율

    기업의 자금부족을 개인의 잉여자금이 보충해준 비율. 즉 기업의 모자라는 투자자금을 개인이 ...

  • 고용유발계수

    10억원의 재화를 산출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고용자 수를 뜻하며 한국은행이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