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부족자금보전율

 

기업의 자금부족을 개인의 잉여자금이 보충해준 비율. 즉 기업의 모자라는 투자자금을 개인이 저축으로 메워준 비율이다.

대개 기업은 저축보다 투자를 많이 하고 개인은 투자보다 저축을 많이 한다. 물론 개별적으로는 돈이 부족한 개인이나 돈이 남는 기업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개인이나 기업부문 전체로 보면 개인은 흑자주체로서 남는 돈을 금융저축으로 운용하고 기업은 적자주체로서 모자라는 돈을 빌려 투자를 하게 된다. 기업이 부족자금을 조달하는 경로는 구체적으로 은행차입 등 간접금융, 주식시장을 통한 직접금융, 해외차입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 돈이 남아 기업의 자금부족을 보충해주는 부문은 개인저축뿐 아니라 정부 및 해외부문도 있다. 그러나 보통 기업부족 자금보전율이라고 하면 개인저축의 기업부족 자금보전율을 말한다.

  • 고정금리채[straight bond]

    고정이자를 지급예정일에 지급하고 원금은 만기에 지급하는 채권.

  • 구동존이[求同存異, seek common ground while preserving differences]

    '공통점을 추구하고 차이점은 그대로 둔다'는 뜻으로, 서로 다른 점은 인정하면서 공동의 이...

  • 감채기금[減債基金, sinking fund]

    감채기금은 특정 채무 상환 또는 특정 목적 자금 마련을 위해 별도의 계정에 적립되는 자금을...

  • 경제공동체[Economic Union]

    회원국 간 금융, 재정 등 경제적인 분야에서 공동 정책을 수행하는 공동체로 공동시장보다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