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고용유발계수

 

10억원의 재화를 산출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고용자 수를 뜻하며 한국은행이 2005년부터 산업별로 작성 발표하고 있다. 2010년 전 산업평균 고용유발계수는 8.3명인데 이는 10억원어치의 제품이 팔릴 경우 고용이 9.5명 발생함을 의미한다. 한편, 2010년의 고용유발계수는 200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2005년 10.1명에 비해 17.8%나 줄었다. ''취업유발계수''라고도 한다.

  • 개인영업점 업무분리제도[Segregation of duties, SOD]

    영업점 창구를 기존 단순 입출금이나 상품판매를 창구직원과 책임자들구분 없이 같이 시행하던 ...

  • 글로나스[GLONASS]

    러시아가 교통, 물류, 국방 등에 활용하고 있는 자체 위성항법체계. 구소련이 198...

  • 국제상품가격지수[international index of commodity prices]

    세계 4대 통신사 중의 하나인 로이터(Reuters)가 작성하는 1차산품의 국제가격에 대한...

  • 계절변동조정지수[seasonally adjusted index]

    계절 요인이 제거된 지수를 말한다. 그러나 최근 수개월간의 추세를 보려면 지난달과의 대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