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고용유발계수

 

10억원의 재화를 산출할 때 직·간접적으로 창출되는 고용자 수를 뜻하며 한국은행이 2005년부터 산업별로 작성 발표하고 있다. 2010년 전 산업평균 고용유발계수는 8.3명인데 이는 10억원어치의 제품이 팔릴 경우 고용이 9.5명 발생함을 의미한다. 한편, 2010년의 고용유발계수는 2005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2005년 10.1명에 비해 17.8%나 줄었다. ''취업유발계수''라고도 한다.

  • 구글 갑질 방지법

    구글과 애플의 인앱결제 (자사 앱에서의 결제) 강제 정책을 막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을 말...

  • 경영협력협약[business co-operation contract, BCC]

    복수의 회사가 협력을 통해 특정 기업을 경영하자는 협약. 2015년 9월 1일 성동조선 최...

  • 기준 중위소득

    전 국민을 100명이라고 가정할 때 소득 규모가 50번째에 해당하는 사람의 소득을 중위소득...

  • 고엽제

    베트남 전쟁에서 나뭇잎의 성장을 억제해 정글에서 적군의 근거지를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