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팩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비상장기업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페이퍼컴퍼니(paper company).
공모로 액면가에 신주를 발행해 다수의 개인투자자금을 모은 후 상장한 후 3년 내에 비상장 우량기업을 합병해야 한다. 일반투자자들로서는 SPAC 주식 매매를 통해 기업 인수에 간접 참여하는 셈이 되고 피인수 기업으로서는 SPAC에 인수되는 것만으로 증시에 상장하는 효과가 있다. 우회상장과 유사하지만 SPAC는 실제 사업이 없고 상장만을 위해 존재하는 페이퍼컴퍼니라는 점이 다르다.
스팩은 ‘바닥이 있는 주식 투자’로 불린다. 주가 상승 가능성이 무한한 데 비해 손실 가능성은 크지 않기 때문이다. 스팩은 공모가(통상 2000원) 밑으로는 주가가 잘 떨어지지 않는 반면 우량 비상장사와 합병하면 주가가 오를 확률이 높다.
물론 손실 위험도 있다. 성장성이 뚜렷하지 않은 비우량 회사와 합병하는 경우다. 투자자가 합병 대상 회사의 재무상태, 사업내용 등이 부실하다고 판단하면 합병 전에 장내매도나 매수청구 등을 통해 보유 주식을 처분하면 된다.
스팩 투자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스팩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때 공모주 청약을 하거나 상장 후 장내에서 스팩 주식을 사는 것이다. 공모주 청약으로 투자할 스팩을 고를 때는 이른 시일 안에 좋은 기업과 합병할 수 있는지 가능성을 따져야 한다. 합병 대상은 주로 스팩의 초기 자본금을 내는 발기인과 증권사가 물색한다. 따라서 상장할 만한 기업이 많은 정보기술(IT) 등 산업군에 잔뼈가 굵거나 스팩 합병을 성사시킨 경험이 많은 발기인이 참여한 스팩이 합병 대상 기업을 빨리 찾을 확률이 높다.
◆이자 수익 노릴 수도
상장 후 장내에서 스팩 주식을 살 때는 청산을 염두에 두고 이자수익을 노려볼 수도 있다. 스팩은 상장한 지 3년 안에 합병 기업을 찾지 못하면 해산한다. 해산할 때는 주주에게 원금뿐 아니라 3년치 이자까지 제공한다. 스팩은 투자금의 90% 이상을 합병 기업을 찾을 때까지 한국증권금융에 예치해둔다. 스팩 예치 금리는 1년 단위로 조정한다.
-
선매권[preemptive rights]
기업규정 권리로서 기존 주주가 먼저 신주를 구매할 수 있는 권리.선매권의 목적은 신주가 발...
-
스몸비[smombie]
스마트폰을 들여다보며 길을 걷는 사람들로 스마트폰(smart phone)과 좀비(zombi...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
기존의 기업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를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
-
상승샅바형[Bullish Belt Hold]
주로 하락추세의 마지막에 나타나는 주가패턴. 이후 강세전환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시가가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