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력세율

 

지방자치단체나 정부가 법률로 정한 기본세율을 정부가 경제 사회적 여건에 따라 국회 의결없이 탄력적으로 인상 또는 인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탄력세율은 조세의 경기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자치단체의 세수증대를 위한 목적에서 마련되었다. 유류세재산세 등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2010년 11월 정부는 외국인의 채권투자 이자소득에 대해 탄력세율을 도입하기로 했는데 이는 외국자본의 과도한 유입으로 인한 환율의 불안정성을 막기 위한 것이다.

  • 터보 차저[Turbo Charger]

    자동차의 출력, 토크를 높이면서 연비 향상에 도움을 주는 엔진보조장치를 말한다. 배기가스를...

  • 특허-허가 연계 제도

    제약 업체가 제네릭(복제약) 허가신청 시 신청사실을 원 특허권자에게 통보하고 이에 대해 특...

  • 통합시청률[total screening rate]

    기존 TV 시청률 조사에 스마트폰이나 PC, IPTV 등으로 본 시청률을 합산해 집계한 시...

  • 트럼프정부 6대 국정기조

    도날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의 '위대한 미국' 건설을 위한 6대 핵심 과제. 2017년 1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