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탄력세율

 

지방자치단체나 정부가 법률로 정한 기본세율을 정부가 경제 사회적 여건에 따라 국회 의결없이 탄력적으로 인상 또는 인하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한다. 탄력세율은 조세의 경기조절 기능을 수행하고 자치단체의 세수증대를 위한 목적에서 마련되었다. 유류세재산세 등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2010년 11월 정부는 외국인의 채권투자 이자소득에 대해 탄력세율을 도입하기로 했는데 이는 외국자본의 과도한 유입으로 인한 환율의 불안정성을 막기 위한 것이다.

  • 택스마겟돈[taxmageddon]

    대규모로 세금 인상이 되어 사회및 경제 전반에 대재앙수준의 악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 통합회전한도대출

    수출입은행이 수출기업에 대한 신용평가를 거쳐 대출한도를 설정하고 1년 단위로 해당 지원액 ...

  • 테라 헤르츠파[T-ray]

    테라(1조) 헤르츠(㎐) 대역의 파동을 이용하는 전자기파. 전파(電波)와 광파(光波 · 빛...

  • 특별감가상각비

    기업회계에서는 비용이 아니지만 국가정책상 투자지원 등을 목적으로 세법에서 특별히 비용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