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크린 쿼터

[screen quota]

1년에 일정 이상의 국산영화를 상용하도록 한 국산영화 의무상영제.

스크린쿼터 1967년 처음 시행됐다. 시행 초기에는 연간 6편 이상의 한국영화를 총 90일 이상 의무상영하도록 규정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국산영화 의무상영일수가 146일로 고정되었다가 2006년에 73일로 축소 되었다.

이때 영화인들은 “한국 영화에 조종(弔鐘)이 울렸다”고 탄식했지만 오히려 그때가 새로운 도약의 시작이었다. 인재와 자본이 ‘한국의 할리우드’인 충무로로 몰려들면서 ‘1000만 영화’가 속출하고, 자국 영화 점유율이 50%를 넘는 몇 안 되는 나라가 됐다

관련어

  • 소비성 서비스업

    호텔업과 여관업(관광진흥법에 의한 관광숙박업 제외), 식품위생법에 의한 단란주점영업 및 유...

  • 신증후군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급성 발열, 요통과 출혈, 신부전 등을 초래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들쥐의 대부분을 ...

  • 수요견인 인플레이션[demand-pull inflation]

    어떤 상품에 대한 수요가 갑자기 올라가면 물가 역시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 실행공동체[CoP]

    공통 관심사, 경험 및 정보를 공유하여 개인의 역량을 강화하고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