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크린 쿼터

[screen quota]

1년에 일정 이상의 국산영화를 상용하도록 한 국산영화 의무상영제.

스크린쿼터 1967년 처음 시행됐다. 시행 초기에는 연간 6편 이상의 한국영화를 총 90일 이상 의무상영하도록 규정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국산영화 의무상영일수가 146일로 고정되었다가 2006년에 73일로 축소 되었다.

이때 영화인들은 “한국 영화에 조종(弔鐘)이 울렸다”고 탄식했지만 오히려 그때가 새로운 도약의 시작이었다. 인재와 자본이 ‘한국의 할리우드’인 충무로로 몰려들면서 ‘1000만 영화’가 속출하고, 자국 영화 점유율이 50%를 넘는 몇 안 되는 나라가 됐다

관련어

  • 세전영업 현금흐름[earnings before interests, taxes, depreciation and armotization, EBITDA]

    EBITDA(에비타)는 기업의 이익 지표 가운데 하나로,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 창...

  • 신문법

    정기간행물 발행의 자유와 독립보장, 사회적 책임 등을 규정한 것으로, 원명은 ''신문 등의...

  • 수도결제[settlement]

    증권의 매매결제가 이루어진 다음에 증권거래소가 지정한 결제기구를 통하여 3일째(보통거래),...

  • 스프레드[spread]

    1. (은행) 은행돈을 대출받을 때 금리는 우대금리에 대출자의 신용에 따라 금융기관 수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