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간외매매

 

오전 9시에서 오후 3시30분까지의 정규매매 거래시간 이전 또는 이후 일정시간 동안 주문을 접수하여 정규시간 매매와는 별도의 방법으로 매매거래하는 제도.

2019년 4월 29일 부터 시가단일가 및 개장전 시간외시장의 운영시간이 단축되었다.
시가 단일가는 기존 오전 8시~9시에서 8시30분~9시로 30분 줄었다.
증권시장, 파생상품시장(돈육선물 제외), 일반상품시장(KRX금시장)이 대상이다.

예상체결정보는 호가접수개시 10분 후인 오전 8시 40분 부터 공개된다.

또한 개장전 시간외 종가매매는 오전 7시30분∼8시30분에서 8시30분~8시40분으로, 개장전 시간외 대량매매는 기존 오전 7시30분∼9시에서 8시∼9시로 각각 1시간 단축된다. 적용 시장은 주식, ETN, ETF를 포함한 증권시장이다.

  • 신용장과 환어음

    수출업자가 수입업자에게 물건을 실어보내고 (선적)대금을 회수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신용장...

  • 신증후군출혈열[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급성 발열, 요통과 출혈, 신부전 등을 초래하는 바이러스 감염증. 국내 들쥐의 대부분을 ...

  • 소프트패치[soft patch]

    경기회복 국면 속에서 나타나는 일시적인 침체 국면을 말한다. 본래 의미는 말랑 말랑...

  • 소액면세제도[De Minimis Exemption, De Minimis Rule]

    개인이 해외직구 등 비상업적 목적으로 소량의 물품을 수입할 때, 세금 징수에 따른 행정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