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시간외매매

 

오전 9시에서 오후 3시30분까지의 정규매매 거래시간 이전 또는 이후 일정시간 동안 주문을 접수하여 정규시간 매매와는 별도의 방법으로 매매거래하는 제도.

2019년 4월 29일 부터 시가단일가 및 개장전 시간외시장의 운영시간이 단축되었다.
시가 단일가는 기존 오전 8시~9시에서 8시30분~9시로 30분 줄었다.
증권시장, 파생상품시장(돈육선물 제외), 일반상품시장(KRX금시장)이 대상이다.

예상체결정보는 호가접수개시 10분 후인 오전 8시 40분 부터 공개된다.

또한 개장전 시간외 종가매매는 오전 7시30분∼8시30분에서 8시30분~8시40분으로, 개장전 시간외 대량매매는 기존 오전 7시30분∼9시에서 8시∼9시로 각각 1시간 단축된다. 적용 시장은 주식, ETN, ETF를 포함한 증권시장이다.

  •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

    스마트폰, 태블릿PC, e-Book 단말기 등 스마트 디바이스와 이러닝 신기술이 융합된 개...

  • 스톡홀롬 증후군[Stockholm Syndrome]

    인질이 인질범에게 동화되어 인질범을 옹호하는 현상. 1973년 스웨덴의 수도 스톡홀롬에서 ...

  • 사이버 복원력[cyber resilience]

    사이버 복원력은 조직이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자산, 데이터, 시스템을 보호하고 비즈니스 연속...

  • 상환전환우선주[redeemable convertible preference shares, RCPS]

    채권처럼 만기 때 투자금 상환을 요청할 수 있는 상환권과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