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스크린 상한제

 

스크린 상한제는 관객이 몰리는 주요 시간대에 특정 영화의 상영관 스크린 수를 제한하는 제도다.

스크린 상한제의 목적은 특정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 현상을 막고 영화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2019년 4월‘어벤져스: 엔드 게임’이 사전예매만 200만 장(예매율 96.8%)이 넘고, 전국 스크린의 90%가 넘는 2800여 개를 차지한 이후 부터 정부는 ‘스크린 상한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4월 22일에는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직접 '스크린 상한제’ 필요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한편, '스크린 쿼터'는 한국 영화 의무 상영 일수를 규정하는 제도이다.

관련어

  • 세대생략증여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고, 세대를 건너뛰어 손자에게 재산을 이전하는 것이다. ...

  • 상하이 자유무역구[Shanghai Free-Trade Zone, SFTZ]

    중국의 첫 자유무역구로 2013년 9월 29일 문을 열었다. 흩어져 있던 4개 보세지역을 ...

  • 싱글 레벨 셀[single-level cell, SLC]

    셀 하나당 1개의 비트 밖에 저장할 수 없지만, 데이터 처리속도가 빠른 기술.

  • 상호출자제한

    상호출자란 서로 독립된 법인끼리 자본을 교환형식으로 출자하는 것을 말한다. 상호출자는 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