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금융장세

[liquidity-driven market]

산업이나 기업의 기조 변화에 기인하기보다는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대거 참여하면서 풍부해진 자금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주가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는 장세를 말한다. 이런 경우 대개는 경기회복 초기단계에서 기업들의 투자활성화를 위해 금리를 인하하면 시중의 유동성이 증가하게 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설비증설투자가 막 시작돼 자금수요가 많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인하로 늘어난 시중 유동성 중 일부가 주식시장으로 유입되기 마련이고 이 과정에서 주가가 크게 올라가는 것을 금융장세라고 한다.

흔히 금융장세 다음에는 실적장세, 역금융장세, 역실적장세 등이 차례로 온다고 알려져 있다. 실적장세는 금리는 낮은 상태에서 실적이 좋아 주가가 오르는 장세다. 역금융장세는 실적이 좋아진 기업들의 본격적인 투자로 금리가 올라감에 따라 주가가 내림세를 보이는 장세이고, 역실적장세는 투자가 완화되면서 금리는 내리지만 실적이 점차 나빠져 주가도 약세인 장세다.

  • 글로벌교육협력구상[Global Education First Initiative, GEFI]

    2012년 유엔총회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주도로 출범한 범세계적 운동. 국가별 교육 ...

  •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국제노동기구.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근로자의 지위향상을 꾀하려는 국제기구. 각국의 노동입법...

  • 경기확산지수[Diffusion index, DI]

    경기변동이 경제의 특정부문에서 시작되어 점차 전체 경제부문으로 확산, 파급되는 과정을 경제...

  • 그린 댐[Green Dam]

    2009년 7월 1일부터 중국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PC에 음란물 필터링(filtering...